시편 24편


1. 이 시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보자.

    1)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찬양(1-2): 창조에 나타난 하나님의 왕권.
    2) 누가 그 하나님께 나아갈 수 있는가(3-6)?: 우리의 삶에 나타난 하나님의 왕권.
    3) 하나님께서 들어가신다(7-10): 성전에 나타난 하나님의 왕권.

2. 이 시에 나타난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영광의 왕: 만유의 주(1), 창조주(2)라는 의미까지 다 포함해서 영광의 왕이시다.

3. ‘땅과 거기에 충만한 것과 세계와 그 가운데에 사는 자들’을 한 단어로 말하면?

    만물: 모든 생물과 사람까지 포함하는 것이다. 하나님께서 이 모든 것을 창조하셨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런 하나님을 왕으로 묘사하는 것은 절대적인 주권을 가진 분이라는 의미다.

4. 왜 하필이면 터를 바다와 강 위에 세우셨을까?

    땅이 바다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창조의 과정(창 1:9)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 바다와 강은 짝을 이루어 세상을 혼돈으로 뒤덮는 세력을 의미할 때 쓰인다. 하나님은 이런 혼돈을 물리치시고 에덴 동산을 만드셨다.

5. 여호와의 산에 오를 자란 여호와 앞에 나아가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왜 ‘산에 오른다’는 표현을 쓸까?

    모세가 하나님을 만나던 장면을 염두에 두었을 것: 출애굽 초기에 모세는 불구경을 갔다가 하나님을 만났다. 하나님께서 그런 방법으로 그를 불렀기 때문이다. 그 후에도 하나님을 뵈러 혼자서 여러 번 산에 올랐다. 후대에는 예루살렘으로, 혹은 성전으로 예배하러 가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성전이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6. 거룩한 하나님 앞에 설 수 있는 자(3)는 손이 깨끗해야 한단다(4). 어떻게 손을 깨끗하게 하는가?

    손은 모든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당연히 마음이 청결해야 한다. 손은 나타난 결과고 마음은 나타난 것의 근본이다. 결국 손이 깨끗한 것이나 마음이 청결한 것이나 뜻을 허탄한 데에 두지 않는 것, 거짓 맹세하지 않는 것은 다 같은 의미다. 누가 그럴 수 있는가? 여호와께서 자신을 찾는 자에게 그렇게 은혜를 베푸신다(5-6). 하나님이 천지만물의 주재이심(1-2)을 아는 사람만이 그럴 수 있다.

7. 예배하러 나아오는 자(3)에게 왜 종교적인 의무를 요구하지 않는가(4)?

    윤리와 종교가 분리될 수 없이기 때문이다: 사람에게 신실하지 않은 자가 결코 하나님께 신실할 수 없다. 윤리적인 사람이 곧 종교적인 사람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종교적인 사람은 반드시 윤리적이다. 하나님을 사랑한다고 하면서 사람을 속일 수는 없다.

8. 하나님께서 왕이 입성하듯이 문으로 들어오신 경우는 성경에 없다. 모든 것의 주인 되신 그 분이 도대체 어디엘 가시기에 문들아 머리를 들라고 외치는가? 다윗의 생애에 그런 유사한 일이 있다면 무엇일까?

    언약궤가 예루살렘으로 들어오는 장면(삼하 6:12-19)을 노래하는 것: 언약궤가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으로 사용된 것이기 때문에 언약궤를 모셔들이는 장면에서 바로 하나님께서 친히 입성하시는 것처럼 찬송하는 것이 가능했을 것이다.

9. 머리를 들어야 할 문은 도대체 무슨 문인가? 다윗의 시대에는 성전도 없었는데?

    성소의 문: 언약궤를 보존할 곳에 문이 없을 리는 없다. 모세가 세운 성소는 아니라도 임시처소의 문이 있었을 것이다. 후대에 가면 성전의 문을 가리키게 되겠지만. 오늘날에는 성도(=하나님의 처소)의 마음을 가리킨다. 마음 문을 열고 영광의 왕을 모셔들이라는 명령이다. 이게 영원한 문이다.

10. 여호와를 전쟁에 능한 분으로 이해하는 것이 후대에 어떤 부작용을 낳을까?

    전쟁이 사라진 시대에는 생산물을 풍성하게 주는 신이 더 요긴(?)해진다. 이스라엘이 바알과 아세라를 섬기는 쪽으로 쉽게 기울어진 원인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여호와는 전쟁에만 능한 분이 아니라 때를 따라 적절하게 비를 주시는 분이시며 땅에서 산물이 나게도 하시고 생축을 번성케도 하시는데(1-2) 이걸 잊어버리다니?

처음으로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