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가 7장


[ 아내의 몸에 대한 남편의 찬양(7:1-6) ]
1. 앞에서 예루살렘 여인들의 도발(5:9)에 대해서 남자의 아름다움에 대해서 찬양했던 적이 있다(5:10-16). 여기서도 여인의 아름다움에 대한 찬양은 아내를 군영에서 춤추는 자로 조롱한 합창단(6:13a)에 대한 대답이다. 한 마디로 그런 여자가 아니라 어떤 여자다?

2. 넓적다리는 허벅지를 가리키는 말이다. 허벅지의 곡선은 성적인 매력과 관련이 깊다. 그러나 이 여인의 허벅지에 대한 매력을 천하게 여길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무엇일까?

3. 포도주를 즐기는 사람들에게 섞은 포도주를 가득히 부은 잔은 어떤 느낌일까?

4. 2절의 ‘허리’는 ‘복부’를 가리키는 말이다. 5:14절에서 남자의 배는 상아 명판으로 비유했는데 여자의 복부는 밀단이란다. 밀단의 특징은 뭘까?

5. 목은 상아 망대란다. 상아로 만든 망대라는 말일까, 상아로 치장한 망대라는 말일까? 여자의 목을 묘사한 1:10, 4:4절을 참고해서 생각해 보자.

6. 눈은 연못 같다는 것은 눈의 어떤 특징을 묘사한 걸까?

7. 신체를 묘사하는 순서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올라왔는데 순서가 바뀐 게 무엇인가?

8. 코는 다메섹을 향한(내려다 보는) 레바논 망대같단다. 잘 났다는 뜻일까, 우뚝 솟았다는 뜻일까?

9. 머리를 묘사하는 방식에서 이 여인이 귀하신 분이라는 것을 어떻게 드러내는지 세 가지를 지적해 보자.

10. 이 여인에 대해서 지금까지 묘사한 바를 간략하게 두 단어로 요약하면 무엇인가?

11. 위기를 잘 극복(6장)한 남편과 아내가 더 깊은 사랑을 노래한다(7장). 이 사랑의 노래도 첫날밤을 묘사하는 4장에서 남자가 신부의 몸을 찬양한 후(4:1-5), 신부와 한 몸이 되고 싶은 마음을 노래했던 것(4:6-11)처럼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여인의 아름다움에 대해서 노래한 것이 1-6절이다. 그러면 여인과 하나되고 싶은 욕망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12. 유방을 종려나무 열매송이(대추야자)라고 하더니 금세 또 포도송이란다. 열매가 맛을 의미한다면 포도송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13. 9절의 ‘내 사랑하는 자’는 원문상 남성이다. 그러면 남편의 노래를 아내가 가로챘다는 말이다. 남편이 ‘그대의 입은 최고의 포도주니라’는 말에 대한 대답을 아내가 뭐라고 한 것일까? 개역은 아무래도 오역같아 보인다. 다른 번역본들을 찾아보자.

14. 내가 나를 사랑하는 자에게 속하였다면(10) 누가 누구를 사모해야 정상인가?

15. 7장의 구조는 4장의 구조와 흡사하다. 신부의 아름다움을 찬양하고, 하나 되고자 하는 열망을 표현하고, 은밀한 사랑의 공간으로 이동한다. 어디로 가는가?

16. 합환채는 사랑의 묘약으로 통한다. 새 것과 묵은 것이란 표현은 처음과 나중이라는 표현처럼 모든 것이라는 뜻이다. 왜 이렇게 쌓아두었지?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