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 22장


1. ‘다윗의 위에 앉을 왕들과 신하들과 백성이 병거와 말을 타고 이집 문으로 들어오게 되리라’는 것(5)이 무슨 뜻인지 대조적인 표현을 찾아보자.

2. 전장에서 선지자는 유다의 마지막 왕 시드기야에게 메시지를 전했는데 여기서 유다 왕은 누구일까?

3. 하나님께서 다윗에게 ‘네 위가 영원하리라’고 약속하신 이유는 하나님을 위한 집(성전)을 짓겠다는 다윗의 소원에 대한 응답이었다(삼하 7장, 대상 17장). 그런데 여기서는 다윗의 위가 영원하려면 지켜야 할 것(3)이 왜 다른가?

4. 길르앗과 레바논 꼭대기는 무엇과 대조적인가?

5. 백향목을 찍어 불에 던지는 도구가 무엇인가? 왜 그런가?

6. 유다의 처절한 파멸의 원인에 대해서 훗날 이방인들도 알게 될 터인데(9) 정작 그 일이 닥치기 전에 유대인들은 왜 알지 못하는가?

7. 10-12절에는 ‘잡혀간 자’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복수형태가 아닌 점에 주목해서 누구를 가리켜 하는 말씀인지 난외주에 언급된 왕하 23:30과 대상 3:15을 찾아보자.

8. 요시야가 전사한 후의 유다의 왕들은 여호아하스(요시야의 아들), 여호야김(요시야의 아들), 여호야긴(여호야김의 아들), 시드기야(요시야의 아들)의 순이다. 시드기야 왕의 시대에 여호아하스에 대해서 말하는 것은 과거 회상인 셈이다. 슬픈 지난날을 왜 언급하는가?

9. ‘이웃을 고용하고 그 고가를 주지 아니하는 자’ 누구이며 어떤 대가를 받았는가?

10. 나라를 튼튼히 세우는 방법 중에는 거대한 궁궐을 짓고 왕의 위엄을 내세우는 것도 있는 모양이다. 대원군이 그럴 목적으로 당백전을 발행하여 위세를 부리다가 오히려 나라를 말아먹었다든가? 이스라엘에도 그런 왕이 있었던 모양이다. 백향목으로 집짓기를 경쟁하던 왕 말이다(14-15). 이스라엘 왕의 지위는 어떻게 튼튼해지는가?

11. 정상적으로 장례를 치르는 경우와 나귀같이 매장하는 경우의 차이점을 본문에서 찾아보자.

12. 레바논은 이스라엘 북쪽, 바산은 북동쪽, 아바림은 남동쪽(요단 건너 모압쪽) 고산지대로 유다를 둘러싼 형태이다. 유다를 내려다보면서 무엇이라고 외칠까?

13. 20절의 ‘너’는 예루살렘, 혹은 예루살렘 거민이다. 예루살렘을 사랑하는 자란 누구일까? 참고로 여호야김이 친애굽파로 바로느고에 의해 왕이 되었지만 뒤이어 팔레스틴의 세력을 잡은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을 섬기게 된다. 악정을 행한 탓도 있지만 바벨론에 반기를 들었다가 백성들의 손에 비참한 최후를 맞게 되는데 반기를 든 이유가 여기의 ‘사랑하는 자’와 관련이 있다.

14. 평안할 때 하나님께서 말씀하셨으나 이스라엘은 듣지 않았다. 어릴 때부터 그랬고 그게 습관이란다(21). 우리는 어떨까?

15. 목자도 사라지고 사랑하던 자도 사라지면 어떻게 되나?

16. 해산의 고통이 임하면 여자의 체면이나 우아함은 깨끗이 사라진다. 그런 날이 올 것을 모르고 지금은 어떻게 큰 소리 치고 있는가?

17. 여호야김의 아들 고니야? 누구인가? 어떤 왕인가?

18. 오른손의 인장반지는 대단히 귀한 것이다. 지금도 본인이 아니면 인감증명서를 발급해주지 않는다. 이렇게 귀한 것을 어떻게 하겠다고 하시는가?

19. 고니야는 무자할 것이라고 했지만 마태복음의 족보에는 아들이 있는데(마 1:12)?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