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고보서 5장


1. 모든 부자가 다 고생이 임하여 슬퍼할 것은 아니다. 아브라함, 이삭, 다윗, 솔로몬, 욥은 대단한 부자였지만 어느 누구도 비난하지 않는다. 그러면 어떤 부자에게만 그럴까?

2. 부자들의 재물이 썩었고 옷이 좀먹었다는 말은 ‘재물은 영원한 것이 아니다’는 말인데 부당한 방법으로 모은 재물과 정당한 방법으로 모은 재물의 수명이 다를까?

3. 금과 은이 녹이 쓴다고? 아닌데?

4. 이 녹은 무슨 녹이며 무엇에 대한 증거가 된다는 말인가?

5. 말세에 재물을 쌓다니? 구체적으로 무슨 잘못인가?

6. 추수한 자들이 왜 우는가?

7. 품꾼들을 울리면서 모은 재산으로 사치하고 연락(宴樂)하면 어떤 벌을 받을까?

8. 이렇게 억울한 일을 당한 형제들이 인내해야할 이유는 무엇인가?

9. 누구처럼 인내해야 하는지 세 가지를 예를 든다면? 또, 이들처럼 인내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0. 이른 비는 10, 11월에 오는 것이고, 늦은 비는 4, 5월에 오는 비이다. 이름이 거꾸로 붙은 것 아닌가?

11. 서로 원망하는 것이 심판을 받는 것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12. ‘맹세하지 말라’는 것과 ‘예, 아니오를 분명히 하라’는 것은 무슨 관계가 있는가?

13. 하늘로나 땅으로나 아무 다른 것으로도 맹세하지 말라고 하는데 왜 하나님의 이름을 걸고 맹세하지 말라는 말은 없을까?

14. 고난당하는 자는 기도하고, 즐거워하는 자는 찬송하고, 병든 자는 장로들을 청하라고 하는데 이 세 가지 행위의 공통점은 무엇인가?

15. ‘병든 자는 교회의 장로들을 청하라’는 말은 병들면 병원에 갈 생각하지 말고 장로들을 청하든지, 아니면 영험한 기도원으로 가라는 말인가?

16. 병든 자를 위하여 기도하면 어떤 결과를 얻는가?

17. 죄를 서로 고하며? 고해성사가 그렇게 해서 생겨났을까? 초대 교회와 같은 부흥의 역사에는 죄를 공중 앞에서 자복하는 회개의 영이 임하셨다. 그렇게 성령이 역사하시는데도 문제가 있더란다. 공중 앞에서 고백해서는 안 되는 죄는 어떤 것일까?

18. 의인의 간구는 역사하는 힘이 많다는 말은 자기가 기도하기보다는 꼭 목사님의 기도를 받거나 은사받은 분에게 기도를 받으려고 하는 것이 옳다는 말인가? 그런 의인의 예로 든 사람이 누구인가?

19. 왕상 18:1에 ‘제 3년에’라는 표현이 있다. 비가 오지 않은 기간이 3년인가, 3년 반인가?

20. 왕상 18:1, 42-45절을 읽고 엘리야의 기도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보자.

21. 진리를 떠난 자를 돌아서게 하거나 죄인을 미혹한 길에서 돌아서게 하는 자는 그 영혼을 사망에서 구원하는 것이며 허다한 죄를 덮는다. 당연한 말 아닌가?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