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23장


두로: 베니게(페니키아)의 고대 해안 도시
다시스: 스페인의 타르테수스로 두로의 해상 식민지
시돈: 베니게(페니키아)의 해안 도시로 두로와 자매인 셈(두로 북쪽 40km), 바알과 아스다롯 숭배의 중심지, 해상무역이 활발

1. 두로에 관한 경고의 내용을 참고로 해서 다음 (      )에 알맞은 단어를 찾아보자.
열방에 대한 경고는 바벨론(13장)에서 시작하여 두로(23장)에서 끝난다. 이 두 나라는 서로 대극점에 있다. 지리적으로 동에서 시작하여 서에서 끝난 점이 그렇다. 또, 권력에서 시작하여 (      )로 끝났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2. 두로에 대한 경고를 하면서 ‘다시스의 선척’에게 슬퍼하라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시스의 선척은 두로에서 다시스를 오가며 무역을 하던 배들이다(2절의 시돈 상고나 마찬가지).

3. 깃딤 땅에서 전해진 소식이란 ‘두로가 망했고 돌아갈 집도 항구도 없다’는 것이다. 깃딤은 구브로(키프로스)섬이다. 두로에서 가장 가까운 섬이다. 바다를 오가는 이들에게 깃딤은 어떤 곳이기에 여기서 슬픈 소식을 들었을까?

4. ‘시돈 상고로 말미암아 부요하게 된 해변 거민들’은 두로와 무역하면서 부를 축적하던 나라의 사람들이다. 이제 조용해야 한다. 왜?

5. 두로가 잘 나가던 시절에는 열국의 시장이었다. 주된 상품은?

6. 바다 즉, 바다의 보장(요새)이 말하기를 ‘나는 구로하지 못하였으며 생산하지 못하였으며 청년 남자들을 양육하지 못하였으며 처녀들을 생육지도 못하였다’는 것이다. 바다가 문자 그대로 바다를 가리킨다면 자녀는 누구를 가리키는가?

7. 두로에 대한 경고에 시돈이 부끄러워할 이유는?

8. 같은 내용을 표현만 달리해서 반복하는 히브리인들이 표현법에 따르면 ‘다시스로 건너가는 것’과 ‘슬피 부르짖는 것’(6)은 동의어다. 어떻게 이 표현이 같은 뜻이 될까?

9. 두로의 멸망이 특히 안타까운 것은 무역의 중심지이었던 것 외에 또 무엇이 있는가?

10. 두로에서는 어떤 사람이 가장 존경을 받았는가?

11. 7절과 8절은 두로가 강한 나라이었음을 여러 각도(역사, 재정, 개척정신, 능력, 인재들)에서 말하고 있다. 두로가 그렇게 쉽게 몰락할 나라가 아니었음을 강조하는 이유는?

12. 잘 나가던 두로가 슬픔을 당하게 된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13. 딸 다시스가 아무런 속박도 없이 나일 같이 넘치는 것이 두로의 패망과 무슨 상관이 있는가? (아무래도 딸이라는 표현은 어머니에게 속박을 받다가 벗어난 의미로 보인다)

14. 하나님께서 바다 위로 손을 펴시는데 어떻게 열방이 흔들리나?

15. 하나님께서 열방을 흔들어버리면 두로는 결국 어떤 처지가 된다고 비유하시는가?

16. 드디어, 두로를 멸망시킬 민족이 등장한다(13). 여기서 망대란 적국의 성을 공격하기 위해서 세우는 것이다. 갈대아(바벨론)가 앗수르에 의하여 망해버린 것을 언급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17. 14절은 1절에서 나왔던 말이다. 왜 또 언급하는가?

18. 두로의 회복을 말하는 것은 정말 뜻밖이다. 19장에서 애굽 사람들이 하나님께 돌아오는 것에 대해서 말한 적이 있지만 그것은 좀 특수한 경우라고 생각이 되는데 두로가 회복되는 일이 어떻게 가능할까? (이 부분은 13장에서 시작된 이방나라에 대한 경고의 최종 결론부분이다. 이방나라에 대한 경고를 발하는 선지자의 관심은 여전히 이스라엘에게 있다. 두로의 회복을 언급하는 진정한 의도는 무엇일까?)

19. 70년은 대체로 하나님의 시간을 뜻하는 상징적인 경우가 많다(7×10=하나님의 사역×완전수). 두로의 멸망이 정확하게 역사적으로 어느 시점을 말하는지 분명하지 않은 탓에 이 70년도 상징적인 의미로 이해하는 것이 좋겠다. 즉 하나님의 때가 되면 두로가 회복될 것이다. 마치 기생의 노랫말처럼! 그 당시에 유행하던 기생의 노래가 어디에 삽입되어 있는가?

20. 기생이 열방과 음란한 짓을 해서 번 재물을 하나님께 드려도 되나?

통도(痛悼, 슬퍼할 도): 상통(傷痛), 상도(傷悼), 마음이 상하고 아픔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