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22장


1. 바벨론(13장), 모압(15-16장), 다메셋과 북이스라엘(17장), 구스(18장), 애굽(19장), 애굽과 구스(20장), 바벨론, 에돔, 아라비아(21장)을 향했던 이사야의 심판 예언은 이제 이스라엘을 향한다. 이스라엘에 대한 심판 예언이 거의 마지막에야 나온다. 왜 그럴까?

2. 바벨론을 해변광야로 묘사하면서 무언가를 암시하듯(21장) 이상 골짜기가 예루살렘을 가리키면서 무엇인가를 암시하는 것이 틀림없다. 왜 예루살렘을 그렇게 표현했을까?

3. 지붕엔 왜 올라갔을까? 슬퍼서? 즐거워서? (바로 뒤의 ‘훤화하며 떠들던, 즐거워하던’은 시제가 없는 형용사, 분사이기 때문에 과거형으로 번역할 필요가 없다. 현재형으로 이해하면 된다)

4. 칼에 죽은 것도 아니요 전쟁에 사망한 것도 아니면 어떻게 된 것이란 말인가?

5. 관원들의 잘못은 무엇인가?

6. 선지자는 자신을 ‘위로하지 말라’고 하면서 울기만 한다. 그 모습을 보면서 사람들은 무엇을 해야 할까?

7. 분요(紛擾: 몹씨 떠들석함)와 밟힘과 혼란과 성벽의 무너뜨림과 산악에 부르짖는 소리가 사무치는 것은 누구 때문인가?

8. 이상 골짜기의 심판 날에는 들리는 두 종류의 소리는 무엇인가?

9. 예루살렘을 공격하는 앗수르 군대는 어느 민족, 어떤 부대로 구성될까?

10. 눈에 뭐가 쉬었으면 보아도 보지 못한다. 이스라엘 그랬던 모양이다. 무엇을 보지 못하고 있었는가? 보고난 후에는 무엇을 하는가? (8절의 ‘덮였던 것’을 대부분의 번역본들이 ‘방어벽’으로 번역하고 있으나 본래의 의미는 ‘휘장,’ ‘덮개’로 개역의 번역이 옳은 것 같다)

11. 가옥을 계수하고 허는 것은 성을 튼튼하게 할 재료를 얻기 위함이고, 저수지를 만드는 것은 적에게 포위되었을 때 물이 부족하지 않도록 하려는 조치다. 그 자체는 잘못이 아니지만 우선순위가 틀렸다. 무엇부터 먼저해야 하는가?

12. 좋은 말은 아니지만 ‘궁합’이 맞지 않는 셈이다.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것은 ‘회개하고 돌아오라’는 것이지만(12) 이스라엘의 대답은 무엇인가(13)?

13. 본문에 언급된 심판 예언은 실제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왜 그럴까?

14. 민족의 장래에 대한 예언을 하다가 갑자기 일개인의 이야기로 바뀌는 이유가 무엇일까?

15. 셉나의 꿈은 무엇이며 결국은 어떻게 될까?

16. 왕하 18:18, 사 36:3... 등 여러 곳에 ‘힐기야의 아들 궁내대신 엘리야김과 서기관 셉나와 아삽의 아들 사관 요아’라는 표현이 있다. 20-22절과 어떻게 조화를 이룰까?

17. 엘리아김을 단단한 곳에 박힌 못이 될 것이라고 하다가 곧 이어 그 못이 삭을 것이라고 하는 이유는 알기 어렵다. 어쨌거나 못이 단단한 곳에 박혔다고 믿을 일이 아니다. 거기에 걸린 것이 어느 날 한꺼번에 떨어질 날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어떡하라는 말인가?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