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야 13장


※ 13-23장은 주변 강대국들에 대한 심판 예고이다. 이스라엘의 선지자가 이방 나라에 대해서 예언하는 것은 단순하게 이스라엘 백성들을 위로하는 것을 넘어서 장차 이루어질 하나님 나라가 온 세상을 정복할 것임을 예고하는 것이다.

예언적 전망: 서로 다른 시공간 속에서 제 각각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사건을 단일한 환상 속에서 보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 13장의 묘사들 사이에는 시간적, 공간적 간격들이 뒤섞여 있다.

1. 바벨론에 대해서 하나님께서 하시려는 일이 무엇인가(2-5)?

2. 애매한 구절은 문맥을 잘 따지는 것이 중요하다. 2절과 3절은 동일한 내용이다. 그렇다면 동일한 표현끼리 짝을 지어서 그 의미를 생각해보자.

3. 2-3절이 ‘목표’라면 4-5절은 2-3절의 내용과 어떤 관계인가?

< 6-16: 바벨론에 대한 심판 >
4. 여호와의 날이라면 기쁨과 환희의 날 아닌가? 바벨론에게 여호와의 날은 어떤 날인가?

5. 여호와의 날에 바벨론은 임산한 여자보다 더 고통스러울 것이다. 왜?

6. 하나님의 바벨론에 대한 심판의 ‘구체적인 내용’은 몇 절부터인가?

7. 바벨론에 쏟아지는 하나님의 분노가 어디까지 영향을 미치는가?

8. 하나님의 구원역사는 어두움을 걷어내고 빛을 비추는 것이다(창 1:2-3). 하나님의 구원을 거부하는 자에게는 다시 어두움이 임할 수 밖에 없다(마 8:12, 25:30). 그래서 최후 심판 때에는 무슨 일이 일어난다고 하는가?

9. 바벨론이 이렇게 심판을 받아야하는 이유는 악하기 때문이다. 그 악함을 구체적으로 표현한 단어를 두 개만 찾는다면 무엇일까?

10. 한창 때의 바벨론은 다민족 국가로 온갖 민족이 다 몰려들어 있었지만 심판이 시작되면 이들이 본래의 동족에게로 뿔뿔이 흩어져 나갈 것이라고 말한다. 마치 무엇처럼?

< 17-22: 메대를 통한 멸망 >
11. 은을 돌아보지 아니하며 금을 기뻐하지 아니하는 메대 사람을 격동시켜 그들을 치게 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12. 바벨론은 정말 대단한 나라이었으며 무너졌다가도 다시 일어나곤 했다. 그러나 메대에 패한 이후에는 제대로 힘을 써보지 못했다. 어떻게 되리라고 하는가?

13. 바벨론이 철저하게 무너져서 들짐승만이 거하게 될 것이라고 하는데 아라비아 사람은 왜 들먹일까?

14. 이사야서의 저자가 단일 저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비평학자들은 본 예언 단락(13-23장)도 다른 저자의 것이라고 말한다. 본문에 등장하는 ‘바벨론’과 ‘메대’ 때문이다. 본 단락이 기록된 시점은 아하스 왕이 죽은 해로 추정되는데(14:28, BC716), 바벨론과 메대는 이 시대에는 아주 미미한 세력이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이 앗수르에 점령당한 해가 BC722이다. 그러니까 이사야 시대(BC739-680)의 강대국은 앗수르이었다. 바벨론이 니느웨를 점령한 것이 BC612이고, 메대가 바벨론을 점령한 것은 BC539이다. 말하자면 이사야는 100년 내지 160년 정도 후의 일을 예언한 것이다. 그래서 이사야가 쓴 것이 아니라 후대의 선지자가 이사야란 이름으로 쓴 것이란다. 무엇을 무시하고 있는 셈인가?

자산(?山): 민둥산
가석(可惜): 측은히 여김
바벨론 멸망에 관한 예언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이스라엘에게는 후일에라도 이사야의 예언이 헛말이 아님을... 하나님의 나라가 말씀대로 이루어질 것을 믿으라는 것!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