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더 4


1. 모르드개가 하만에게 절하지 않고 자신이 유대인인 것을 당당하게 밝힐 때는 각오하는 바가 있었을 것이다. 막상 일이 터지자 이렇게 당황해 하는 것(1)은 이상하지 않은가?

    개인적으로는 각오를 했을 것이지만 일이 이렇게 커질 것은 예상하지 못했던 것 같다: 개인적인 희생은 견딜 수 있으나 가족이나, 친지들, 나아가 민족 전체가 죽임을 당하는 일은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엄청난 일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하만이 그렇게도 나쁜 놈인 줄은 몰랐다.

2. 모르드개가 하만의 음모를 알게 된 곳은 자신이 근무하던 대궐 문이었을 것이다. 거기서는 상을 당한 사람처럼 대성통곡하지 못한다. 그래서 대궐 밖으로(=성중에 나가서: 1, 6) 나갔다. 실컷 울었다(1). 하나님께 마음을 먼저 드린 셈이다. 그렇다고 울기만 해서는 안 된다.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일까?

    일단은 에스더와 연락해야 한다: 그래서 에스더와 연락이 가능한 대궐 문으로 갔을 것이다(2). 성중으로 나갔다가 다시 대궐 문 앞에 이르렀지만 들어오지 못하는 것은 굵은 베(일종의 상복)를 입었기 때문이다(2). 일이 터지면 하나님께 먼저 매달려야 한다. 그런 다음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찾아야하고 노력해야 한다. 때로는 기도 외에 할 수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을 때가 있기는 있다(출 14:14)

3. 왕의 조서는 유대인들에게는 마른 하늘의 날벼락이다. 할 수 있는 일이라면?

    하나님께 매달리는 것뿐: 크게 애통하여 금식하며 곡읍하며 부르짖고 굵은 베를 입고 재에 눕는 것이 바로 하나님께 자비를 구하는 일이다. 누가 시키기도 전에 이러는 것은 그들로서는 이 길 외에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게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것이 얼마나 복된가!

4. 에스더에게 말을 전하려는 모르드개의 시도는 성공한 셈이다(4). 그런데 왜 굵은 베옷을 벗지 않으려는가? 그것 때문에 대궐 출입도 불가능한데?

    하나님께 간구하는 일이 더 시급한 일이기 때문이다: 인간적으로 본다면 베옷을 벗고 왕후를 만나서 해결책을 찾는 것이 가장 시급한 일이겠지만 신앙인으로서는 하나님께 자비를 구해야 하는 일이니 하나님으로부터 어떤 답이 오기까지는 벗을 수 없는 일이다.

5. 하만이 어떻게 그렇게 높은 지위까지 올라갔는지 모르지만 모르드개도 그리 만만한 사람은 아니다. 예전에 모반을 미리 알아채고 막은 적도 있다. 여기서도 그의 능력을 보여주는 말이 있다면 무엇인가?

    모르드개는 조서가 반포된 경위까지 다 파악하고 있었다. 왕의 의도가 아니라 하만의 흉계라는 것을 정확하게 알고 있었다(7). 하만이 왕에게 은밀하게 바치기로 한 은 일만의 수효까지 알아냈다는 것은 대단한 정보력을 지니고 있었다는 말이다. 그러니 만나기 어려운 왕후에게서 사자가 오도록 하는 효과적인 방법도 알고 있었다.

6. 왕이 부르지 않는데 가면 죽인다고? 왕과 왕후는 부부사이다. 무슨 부부가 만나는 게 이 모양인가? 왜 이따위 법을 만들었을까?

    왕의 권위 문제도 있지만 암살자가 접근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법이다: 왕이란 자리가 그런 모양이다. 암살을 피하려고 오만 가지 방법을 다 쓰지만 아하수에로 왕도 결국은 암살되고 만다. 아무리 그렇다고 하더라도 설마 왕후를 죽게 놔둘까? 에스더가 왕후가 된지 벌써 5년이다(2:16, 3:7). 왕의 사랑도 많이 식은 모양이다(4:11). 에스더 본인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었던 모양이다.

7. 아무리 왕의 사랑이 식었다고 해도 설마 전혀 만날 일이 없을까? 앞으로 11달이나 남았는데 좀 기다리면 왕을 만날 기회가 오지 않을까? 그런데 이렇게 몰아부쳐야(13-14) 했을까?

    자연스럽게 때가 오기를 기다리는 사람도 있고, 기회다 싶을 때 밀어붙이는 사람도 있더라. 어느 쪽이 잘 하는 건지는 모르겠다. 어쨌든 모르드개는 기회가 올 때까지 기다리기보다는 적극적으로 밀어붙여야 하는 성품이었던 모양이다. 하긴 유대 민족의 아픔을 생각해보면 하루라도 빨리 해결해야 할 일이기도 하다.

8. 하나님의 구원은 확실하다. 다만 누구를, 혹은 어떤 사람을 통해서 이런 일을 이루실까?

    민족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으로 알고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자를 통해서 하나님께서 역사하실 뿐이다.

9. 좋은 자리에 있으면 이런 저런 청탁을 많이 받게 된다. 거절하기가 쉽지 않고 들어주다보면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모르드개의 청탁 ‘네가 왕후의 위를 얻은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아느냐?’는 말은 일반적인 청탁과 어떻게 다른가?

    개인적인 청탁이 아니라 민족 전체를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이 아니냐?’는 것이다.

10. 이 때쯤 하나님의 이름이 한번 등장할 만도 한데 의도적으로 피하고 있는 것 같다. 정상적이라면 어디서 하나님이란 표현이 나와야 할까?

    ‘다른 데로 말미암아’라는 말이 ‘하나님으로 말미암아’라고 해야 할텐데: 저자의 의도가 담긴 것 같다. 말하자면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역사를 설명하느라고 의도적으로 하나님이란 표현을 피하려고 하는 것이다.

11. ‘죽으면 죽으리라’는 말을 가장 잘 인용했던 한국 사람은 누구인가?

    안이숙: ‘내일 일은 난 몰라요’라는 곡의 작사자로 더 잘 알려져 있는가? 박관중 장로와 함께 일본 국회에 항의문을 투척한 일과 신사참배반대 운동으로 6년간 옥살이를 했다. 일제시대의 고난을 이겨낸 자전적 소설이 ‘죽으면 죽으리라’는 책이었고 후편으로 ‘죽으면 살리라’를 펴냈다. 이 표현의 원조는 에스더가 틀림없지만 개인적으로는 야곱이라고 말하고 싶다. 창 43:14 절의 ‘자식을 잃게 되면 잃으리로다’라는 말 때문이다.

12. 에스더의 단호한 결의가 보인다. 그렇지만 자신의 이런 행위로 인해 민족이 구원을 받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잘 보여주는 행위는 무엇인가?

    모든 유대인이 밤낮 삼일을 먹지도 말고 마시도 말고 (하나님께) 기도해야 한다는 것: 하나님께서 하셔야 되는 일임을 확신하기 때문이다. 그런 확신이 우리를 강하게 만든다.

처음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