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한 아버지(요담) 밑에서 악한 왕(아하스)이 나아고 악한 아버지(아하스) 밑에서 선한 왕(히스기야)이 나온다. 도대체 왜 이럴까?
2. 다윗의 모든 행실과 같이 여호와 보시기에 정직하게 행하였다는 평가는 이스라엘 왕들에 대한 최고의 평가다. 히스기야외에 단 2명의 왕만 이런 비슷한 평가를 받았다. 여기 히스기야 외에 또 누가 있을까?
3. 히스기야가 성전의 문을 열고 수리하고(3) 더러운 것을 없앴다(5). 누가 성전을 닫았고, 더러운 것은 무엇일까?
4. 히스기야가 종교개혁을 시작한다. 제일 처음 한 일이 무엇인가?
5. 히스기야가 선한 왕이 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인가?
6. 다윗은 성전을 건축할 마음을 품었다고 하나님의 큰 은혜를 입었다. 히스기야는 무슨 마음을 품었다가 은혜를 입은 셈인가?
7. 5-11절은 히스기야의 명설교라고 불린다. 핵심내용이 무엇인지 정리해 보자.
8. 히스기야의 명에 따라 성전을 깨끗하게 한 레위인들은 계보별로 몇 명이며 전부 몇 명인가(12-14)?
9. 이 레위인들은 누구의 명령에 따랐는가?
10. 레위인들이 성전을 청결케 하는데 제사장들은 무슨 역할을 하는가?
11. 성전을 청결케 하는 데 며칠이나 걸렸는가?
12. 히스기야 왕이 나라와 성소와 유다를 위하여 속죄제물을 드렸다. 무슨 속죄일까?
13. 왕과 회중들이 속죄제물에 안수했단다. 제물에 안수하는 게 무슨 의미인가?
14. 히스기야가 인용한 다윗과 선견자 갓과 선지자 나단의 명령이(25) 무엇인가?
15. 원래 제사법은 번제를 드리는 규정뿐이었다. 여기서는 제물을 잡아서 태우는 동안 어떤 것들이 추가 되었는가?
16. 여호와의 시(27)와 다윗과 선견자 아삽의 시(30)는 어떻게 다른가?
17. 성전을 성결케 하고 번제와 속죄제를 드렸다. 그런 다음 무얼 해야 하는가?
18. 자원해서 드리는 제물이 엄청나게 많다(32-34). 이런 열심을 가진 백성들이 아하스 시대에 하나님께 제사를 드리지 않고 어떻게 지냈을까?
19. 제물이 너무 많아서 그랬을까 왜 제사장이 부족하지? 레위 사람들이 더 성심이 있었더라는 표현을 참고해 보자.
20. 레위기의 번제를 드리는 장면과 비교해보면 여기서 달라진 점이 무엇인가?
21. 아하스 왕 때에 배교행위가 오래도록 지속되었음에도 순식간에 성전예배가 대규모로 회복될 수 있었던 원인이 무엇인가?
처음으로 |